(사)전립선암환우건강증진협회

전립선암 관련 뉴스

홈 > 전립선암관련정보 > 전립선암 관련 뉴스
전립선암 관련 뉴스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1만례 달성

돌손 1 3,741 2020.09.15 11:32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1만례 달성

입력 2020.09.15 11:34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제공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최근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1만례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단일 의료기관의 비뇨의학과 로봇수술 1만례는 국내 및 아시아에서 최초이며, 전 세계적으로 두 번째다.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는 지난 2005년 7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로봇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해 이 분야의 첫발을 내디뎠다.

로봇 수술 도입 초기에는 전립선암 위주로 시행됐으나, 이후 영역을 확대해 현재는 신장암, 요관암, 방광암은 물론 요관 및 방광 재건 수술과 소아 비뇨기 수술까지 확장됐다.

구체적으로 ‘전립선암’ 분야에서는 복막 외 접근법으로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는 술식이 4000례를 도달해, 로봇 전립선 절제술 세계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 기존 방식과 달리 전립선 뒤쪽에서 접근, 전립선 앞쪽 구조물을 보존해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레찌우스 보존 전립선 절제술’은 독보적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국산 수술용 로봇인 ‘레보아이’를 이용한 전립선 절제술도 성공적으로 시행해 국산 수술 로봇 상용화에도 앞장서 왔다. 최근에는 암의 완벽한 절제, 요실금 최소화, 성기능 유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수술 중 대량 출혈 위험성이 커 까다로운 수술 분야인 ‘신장암’ 수술 분야에서는 로봇 수술 도입 이전부터 미세침습 방법으로 수술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단일공 로봇 수술을 시행했다. 최근에는 SP 다빈치 로봇수술를 이용해 최소 절개창으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단일공 부분 신장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다.

‘방광암’ 수술은 방광 적출 후 요로 전환술까지 시행해 수술 시간이 길고 합병증이 많은 고난도 수술이다. 이 분야에서는 수술 전 과정을 로봇으로 시행해 조기 회복을 돕고 있다.

한편 로봇 수술 영역은 암 분야에만 그치지 않고 요로결석, 요관 협착, 정낭, 부신 질환 등의 치료에도 적용해왔다.

2018년 국내 최초로 단일공 수술 로봇인 SP 다빈치를 도입해 요관 성형술, 요관방광 문합술, 소장을 이용한 인공 요관 등의 까다로운 재건 수술을 하면서도 배꼽에 단 2cm가량의 수술 흉터만을 남겼다.

SP 다빈치는 소아 비뇨기 수술에도 유용하다. 그동안 소아는 체구가 작아 로봇 수술을 적용하는 데에 어려웠지만, 도입 후 많은 소아 환자에게 선천성 요관 기형의 교정은 물론 신장 절제술까지도 시행하고 있다.

최영득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과장은 "제일 치료받고 싶은 병원, 가장 배우고 싶은 교육기관으로 거듭나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세브란스병원이 세계 로봇 수술의 허브가 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9/15/2020091501573.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중년 남성의 적 전립선 암 완전 정복!

2020-09-15 10:29

add remove print link 

                

백세 시대를 바라보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전립선’이라는 용어가 더이상 생소하지만은 않다. 

남성들에게만 있는 장기인 ‘전립선(prostate)’은 ‘앞’을 의미하는 ‘pro’와 ‘서다’는 의미의 ‘state’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로, 그 뒤에 ‘샘’을 의미하는 ‘gland’가 붙어서 방광의 아래에 밀착된 부생식선을 일컫는다. 

 

◆전립선암, 남성 암 중 절대 비중 

인간의 모든 정상 세포들은 각자의 수명을 다하면 사멸하지만, 일부 세포들은 죽지 않고 증식을 거듭하면서 종괴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중 세포 증식이 매우 빠르고 다른 장기로 퍼져 나가며 생명을 위협하는 종양을 악성 종양 혹은 암이라고 부른다. 전립선 역시 이러한 암 세포의 발생으로부터 자유로운 장기는 아니며, 전립선 조직에 생기는 암을 ‘전립선암’이라고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자 세계인권운동의 상징인 넬슨 만델라, 중국의 국가 주석 덩샤오핑, 프랑스의 전 대통령 미테랑, 일본의 천황 아키히토까지 수많은 각국의 유명인사들이 전립선암으로 투병했을 만큼, 전립선암은 남자라면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어두운 그림자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2019년 우리나라의 국가 암 통계에 따르면 전립선암은 전체 암 중 7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남성 암 중에서는 무려 4위를 차지할 만큼 절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암세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초기의 전립선암은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환자 대부분이 중년 남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다양한 배뇨 증상, 예를 들어 소변이 자주 마렵다든가 소변 줄기가 최근 가늘어진 것 같다든가 아니면 소변을 본 말미가 개운하지 않다는 등 전립선암과는 동떨어진 불편감을 호소하며 진료실 문을 두드린다. 

 

전립선 증상이 확인되면 40세 이후의 남성들에게는 초기 스크리닝 검사로 전립선 특이항원 검사, 직장 수지 검사 및 전립선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가는 침을 이용하여 전립선내 여러 군데의 조직을 채취하고 이를 병리학적으로 분석하여 나쁜 암세포가 발견되는지 찾는다. 

 

물론 아무 문제가 없으면 가장 좋겠지만 만일 조직검사에서 전립선암 세포가 확인된다면 어떻게 될까? 암세포가 몸 안에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 내 수명시계의 끝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암세포가 생명에 지장을 일으키는 장기로 퍼지지만 않았다면, 충분히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전이 이룩한 고도의 수술법  

전립선암이 진단된 경우 그다음으로 해야 하는 과정은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퍼졌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일이다. 전이가 확인되어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호르몬 치료 등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그러나 대개 암세포가 전립선 내에 국한된 국소성 전립선암으로, 과거에는 전립선의 위치가 우리 몸속 중 깊은 곳에 있고 출혈이 심하여 완전한 제거가 어려웠다. 

 

또한 수술 이후 합병증인 발기부전이나 요실금 증상이 극심하여 90년대까지는 방사선 치료를 선호했다. 이후 90년대 중반부터 전립선 주변의 신경다발을 보존하는 술식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보급되면서 개복으로 전립선을 근치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법이 표준치료법으로 각광 받기 시작했다.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과 의료 술기의 고도화에 힘입어 이제는 사람의 손보다 더 작고 정밀한 로봇을 이용하여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전립선 주변 신경다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로봇수술이 보편화되고 있다. 아직까지 로봇수술 도구가 우리가 SF 영화에서 보듯 로봇이 다 알아서 수술을 한다거나 자동차의 자율주행기능처럼 의사가 손 놓고 편안하게 지켜보는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로봇을 이용한 전립선 절제술의 발달로 기존 수술법에 비해 수술 중 출혈이 현저히 적고, 좁은 공간임에도 작은 기구들을 불편함 없이 조작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 수술 이후 발기부전이나 요실금 등과 관련된 신경다발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전립선암을 슬기롭게 예방하는 방법 

다행히도 금연, 금주를 실천하고, 적절한 운동과 동물성 지방 섭취를 줄이고, 고섬유질 식이를 하면서 토마토나 카레 등을 즐겨 먹는다면 이러한 전립선암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다.

 

아울러 가족력이 있다면 40세 이후에 정기적인 비뇨의학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전립선암을 찾아낼 수 있고, 설령 느닷없이 암을 진단받더라도 100세 장수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로 치료가 가능하니 전혀 불안해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모든 암이 그렇듯 전립선암 역시 조기에만 발견된다면 두려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글 오진규 가천대학교길 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자료: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발췌>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72171

Comments

산향기1 2020.09.16 10:02
아시아 최초
세계 두번째.
정말 대단한 기록입니다 ~~~^^